GPS 저장 관련해서 재질문 드립니다.

ToTb Story/ToTb 네이버지식 Story 2012. 6. 5.
GPS 저장 관련해서 재질문 드립니다.

[질문]

  

추가 질문이 있어서 이렇게 1:1 질문으로 다시 찾아 뵙게 되었습니다. 
답변해주셨을 때, 웹 세션에 대해 조언해주셨는데, 
DB 에 이 정보들을 저장하는 것은 전혀 문제가 없을까 해서 문의 드립니다. 
2000명 ~ 100000 이 10초마다 계속 Insert 하게 되는데 ....

이것을 Update 로 처리해야 하는지 ... 아니면... 로그를 남기면서 insert로 처리해야 하는지...
그렇담 Select 할 때는 또 어떻게 해야 하는지.... 
이렇게 많은 사람이 계속 저장하는데 문제는 없는 것인지... (서버 구성면에서..)

답변 부탁드립니다... 진짜... 이런거 물어볼 사람이 ... 주위에 아무도 없네요.. ㅡㅜ 
인맥 네트웍을 쌓아야 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IT전문  컨설턴트입니다

 

일반적으로 insert와 Update는 DB구성이 다릅니다. 현재 방식처럼 DB의 용도가 사용자의 위치를 보관하려는 용도가 맞다면 Update가 아닌 insert로 진행을 하는것이 맞을듯 합니다.
DB의 정규화 범위 및 설계방법에 따라서 이 또한 다양한 속도향상 전략이 있습니다.
대용량 DB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방법중 하나가 집계형 DB구성 전략입니다.
통계 및 설문사이트에서 위의 요소처럼 insert용 DB가 누적이 됩니다.
이때 전략적인 방법으로

1. 앞의 insert를 메모리에 저장해둔후 뒤의 insert값과 비교해서 차이가 나는 부분이 있으면 insert를 진행하고, 아니면 insert된 값에 누적필드를 만들어 카운트를 업데이트 하는방법
2. 스케줄러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집계를 산정하여 새로운 DB(집계전용DB)에 업데이트 하는방법
3. 시간대별 DB경로를 나누고, 유휴 DB를 스케줄러를 통하여 정리하여 집계DB화 시키는 방법

의 방법으로 대용량 DB에 대한 적용을 많이 진행하고 있습니다.

결론 부터 말씀드리면, DB는 insert로 구성하고, 주기적으로 집계DB를 생성시키는 전략을 통해서 구성하신다면 select에 큰 문제가 없으리라 생각이 됩니다. 또한 DB의 구조에서 변경된 값을 기준으로 insert를 구성해 본다면 효율적인 DB운영이 가능합니다.
지난번에 답변을 드린것처럼 여러가지 방법을 활용할수 있고, 핸드폰 기반의 서비스의 경우 핸드폰 내의 자체 DB구조 및 파일생성을 통한 로그파일 저장 또한 우회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GPS 저장 관련해서 재질문 드립니다. - IT감리, IT컨설팅, 웹컨설팅, 웹에이전시, 웹솔루션개발, ERP, SCM, CRM, ToTb, 홈페이지제작, 웹사이트 제작, 온라인 마케팅, 시스템구축, 유지보수, 운영대행 등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라이프코리아트위터 공유하기
  • shared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